초코보드
[Linux] 📒유저관련 명령어 정리 본문
목차
반응형
공부하면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 위주로 정리합니다.
📒최초 등록일 : 2024 - 04 - 13
✏️최종 수정일 : 2024 - 04 - 14
🔲 useradd (or adduser)
✔️ 기본문법
useradd [options] LOGIN_ID
useradd -D
useradd -D [options]
✅ 기능
유저를 생성합니다. LOGIN_ID를 필수로 입력해야하며, 초기 생성된 ID는 1000번이며 변경이 가능합니다.
유저에 관한 정보는 다음 파일이 생성됩니다.
/etc/passwd # 유저 비밀번호 저장
/etc/shadow
/etc/group
파일에는 다음 형식으로 유저의 정보가 저장됩니다.
💡옵션
Simple command | Full command | Descriptions |
-u | --uid UID | uid를 설정합니다. |
-g | --gid Group | group id 혹은 이름을 지정합니다. 해당 그룹은 만들어져 있어야 합니다. |
-d | --home-dir HOME_DIR | home 디렉토리를 지정합니다. |
-s | --shell SHELL | Shell을 지정합니다. |
🔲 passwd
✔️ 기본문법
passwd [옵션...] <accountName>
✅ 기능
유저의 비밀번호를 관리합니다.
💡옵션
Simple command | Full command | Descriptions |
-k | --keep-tokens | 만기되지 않는 인증토큰을 사용합니다. |
-d | --delete | 계정의 비밀번호를 삭제합니다. (root만 가능) |
-l | --lock | 계정의 비밀번호를 잠급니다. (root만 가능) |
-u | --unlock | 계정의 비밀번호 잠금을 해제합니다. (root만 가능) |
-e | --expire | 비밀번호를 만료시킵니다. (root만 가능) |
-x | --maximum=DAYS | 비밀번호 최대 유효기간 (root만 가능) |
-n | --minimum=DAYS | 비밀번호 최소 유효기간 (root만 가능) |
-w | --warning=DAYS | 비밀번호 만료되기 전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경고 기간 (root만 가능) |
-i | --inactive=DAYS | 비밀번호 만료 후 계정이 비활성화 되는 기간 (root만 가능) |
-S | --status | 비밀번호 상태 보고 (root만 가능) |
🔲 usermod
✔️ 기본문법
usermod [options] LOGIN_ID
✅ 기능
사용자의 속성을 변경합니다. 사용 가능 옵션은 useradd와 동일합니다.
💡옵션
Simple command | Full command | Descriptions |
-u | --uid UID | uid를 설정합니다. |
-g | --gid Group | group id 혹은 이름을 지정합니다. 해당 그룹은 만들어져 있어야 합니다. |
-d | --home-dir HOME_DIR | home 디렉토리를 지정합니다. |
-s | --shell SHELL | Shell을 지정합니다. |
🔲 userdel
✔️ 기본문법
userdel [options] LOGIN_ID
✅ 기능
사용자를 삭제합니다. 기본값으로 삭제할 경우 home 디렉토리는 유지됩니다.
💡옵션
Simple command | Full command | Descriptions |
-r | --remove | 홈 디렉토리, 메일까지 모두 삭제합니다. |
🔲 chage
✔️ 기본문법
chage [options] LOGIN_ID
✅ 기능
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. (Change로 헷갈릴 수 있음 주의)
💡옵션
Simple command | Full command | Descriptions |
-d | --lastday LAST_DAY | 비밀번호 마지막 변경 날짜를 LAST_DAY로 변경 |
-E | --expiredate EXPIRE_DATE | 계정의 비밀번호 만료일을 EXPIRE_DATE까지로 설정 |
-l | --list | 현재 설정된 계정들을 리스트로 보여줍니다. |
-m | --mindays MIN_DAYS | 비밀번호 변경 후 최소 MIN_DAYS 이후에 변경 가능 |
-M | --maxdays MAX_DAYS | 비밀번호 변경 후 최대 MAX_DAYS까지 사용 가능 |
-W | --warndays WARN_DAYS | 비밀번호 만료 WARN_DAYS 전에 경고 (Default : 7) |
🔲 groups
✔️ 기본문법
groups [OPTION]... [USERNAME]...
✅ 기능
유저가 소속된 그룹을 표시합니다. groups만 입력할 경우 현재 사용자를 기준으로 표시합니다
🔲 groupadd
✔️ 기본문법
groupadd [options] GROUP
✅ 기능
새로운 그룹을 생성합니다.
💡옵션
Simple command | Full command | Descriptions |
-g | --gid GID | 새로운 그룹의 ID를 GID로 설정하고 생성합니다. |
🔲 groupmod
✔️ 기본문법
groupmod [options] GROUP
✅ 기능
그룹의 GID, 이름 등 속성을 변경합니다.
💡옵션
Simple command | Full command | Descriptions |
-g | --gid GID | 그룹의 ID를 GID로 변경합니다. |
-P | --password PASSWORD | 그룹의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. |
🔲 groupdel
✔️ 기본문법
groupdel [options] GROUP
✅ 기능
그룹을 삭제합니다. 그룹 내에 사용자가 없어야 합니다.
💡옵션
Simple command | Full command | Descriptions |
-f | --force | 그룹이 기본그룹이어도 삭제합니다. |
🔲 gpasswd
✔️ 기본문법
gpasswd [option] GROUP
✅ 기능
그룹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그룹 관리를 수행합니다.
💡옵션
Simple command | Full command | Descriptions |
-a | --add USER | 그룹에 USER를 추가합니다. |
-d | --delete USER | 그룹 내 USER를 제거합니다. |
-r | --delete-password | 그룹의 비밀번호를 제거합니다. |
-A | --administrators ADMIN | 그룹의 관리자를 ADMIN으로 지정합니다. |
반응형
'서버구축 > [Linux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📒패키지 명령어 정리 (0) | 2024.04.21 |
---|---|
[Linux] 가상머신 간략 소개 및 설치 (Feat. Virtualbox) (0) | 2024.04.18 |
[Linux]📒패키지 관리자 명령어 정리 (0) | 2024.04.15 |
[Linux]📒 파일권한 관련 명령어 정리 (0) | 2024.04.15 |
[Linux] 📒기본 명령어 정리 (1) | 2024.04.13 |